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수두

개요

수두 바이러스로 인한 급성 질환으로 전신적인 가려움과 수포성 발진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원인균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Varicella-Zoster Virus, VZV)

전파경로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는 사람에서 사람으로 전파될 수 있으며, 감염된 환자의 호흡기 분비물 등의 비말(droplet)을 통한 호흡기 감염 및 수두 또는 대상포진 환자의 피부 병변 수포액에 직접 접촉함으로써 감염이 가능함

증상
  • 전구기 : 피부 발진이 발생하기 1~2일 전부터 권태감과 미열 발생. 소아는 전구기가 없이 발진이 첫 번째 증후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음
  • 발진기 : 피부 발진이 발생하는 시기로 주로 몸통, 두피, 얼굴에 발생하며 가려운 소양감을 동반하고 24시간 내에 반점(macules), 구진(papules), 수포(vesicles), 농포(pustules), 가피의 순으로 빠르게 진행되며 동시에 여러 모양의 발진이 관찰됨
  • 회복기 : 모든 병변에 가피가 형성되며 회복됨
진단
  • 혈액 검사 : 수두 특이 IgM 항체 검출 또는 회복기에 급성기에 비해 수두 특이 IgG 항체가 4배 이상 상승
  • 수포액, 혈액, 뇌척수액 등에서 수두 바이러스 또는 핵산 검출
치료

합병증이 없는 경우 특별한 치료법을 필요로 하지 않으나 중증으로 발전할 위험이 있는 경우에는 항바이러스제를 투여

  • 수두 환자 치료에는 피부 병소의 세균 감염을 줄이기 위해 목욕을 자주 시키며, 항히스타민제를 경구 투여하거나 칼라민 로션을 도포하는 등 대증요법이 이용됨
  • 합병증이 없는 경우 특별한 치료법을 필요로 하지 않으나 중증으로 발전할 위험이 있는 경우에는 항바이러스제를 투여함
    • 해열제로는 아스피린 대신 아세트아미노펜을 사용함
    • 항바이러스 제제에는 acyclovir, valacyclovir, famciclovir 및 foscarnet이 있음
예방접종
  1. 접종 대상 : 모든 영유아
    • 과거력 상 수두를 앓은 적이 없거나 예방접종력이 없는 경우 접종을 권장
  2. 접종 간격 : 4~8주 간격으로 2회 접종
FAQ

Q. 수두를 앓고 있는 사람과 만났습니다. 수두는 어떻게 전파되며, 언제까지 증상이 나타나는지 관찰이 필요한가요?

A. 감염자의 기침과 재채기 시 나온 수두 바이러스가 공기를 통해서 또는 수포 병변을 직접 접촉하면 전파될 수 있습니다. 잠복기는10-21일로 대부분 14-16일 이내에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전에 수두를 앓은 경우에는 이미 면역력이 있으므로 수두 환자와 접촉하더라도 다시 감염되지는 않습니다. 다만, 드물게는 면역이 저하되어 있는 경우에는 재감염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