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파상풍

개요

파상풍균이 생산하는 독소에 의해 급성으로 골격근의 경직과 근육수축이 발생하는 질병으로 사망률이 매우 높습니다. 파상풍은 전세계적으로 발생하지만, 토양이 풍부한 고온다습한 기후의 인구밀집 지역에서 흔히 발생합니다.

원인균

파상풍균(Clostridium tetani)

전파경로

파상풍균은 토양과 인간 및 동물의 위장관에 상존하며 흙, 먼지, 동물의 대변 등에 포함된 파상풍의 아포가 피부의 상처를 통해 침투하여 전파됨

증상
  • 잠복기 : 1일~수개월(대부분 3일~21일)이며 상처가 심할수록 잠복기가 짧아짐
  • 유형
    • 전신 파상풍
      • 가장 흔한 형태(80% 이상)로서 입 주위 근육의 수축으로 인한 개구 불능이 나타나며 경직에 따른 통증 동반
      • 복부강직, 후궁반장(opisthotonus)* 및 호흡근육 경직에 의한 호흡곤란 발생
        • * 후궁반장 : 온몸에 걸친 근육의 긴장 발작으로 팔다리를 뻣뻣하게 뻗고 등을 활처럼 젖히는 상태
      • 강직은 3~4주 유지되며 완전히 회복되는 데에는 수 개월이 소요됨
    • 국소 파상풍
      • 아포가 침투한 부위에 국소 근육긴장이 나타남
      • 일반적으로 증상이 심하지 않고 자연적으로 회복되는 경우가 많으나 전신파상풍의 전구증상으로 나타나기도 함
    • 두부형 파상풍 : 중추신경이 지배하는 근육(안면신경, 외안근 등)의 마비
진단
  • 임상 진단 : 특징적인 임상 증상이나 병력을 통해 진단
  • 배양 검사 : 상처 부위에서의 균 배양 검사
  • 근전도 검사 : 근육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검사하여 근육의 수축 기능에 이상이 있는지를 확인
치료
  • 상처가 났을 때에는 상처 부위를 소독하고 배농이나 절개, 괴사 조직 제거 등 적절한 처치를 하여 파상풍균의 감염을 예방해야 함
  • 독소가 중추신경계에 침범하는 것을 방지하고 독소 생성을 차단하기 위해 파상풍 예방접종력을 확인하여 파상풍균 독소에 대한 면역력이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파상풍 면역글로불린(TIG)의 투여나 파상풍 톡소이드(파상풍의 예방용 백신으로 파상풍균의 독소를 약화시킨 것) 접종 필수
  • 적절한 항생제 사용 필요 : 항생제는 균을 죽일 수는 있지만 파상풍은 독소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이므로 항생제 투여가 파상풍 예방책은 아님
예방
  • 상처가 났을 때 파상풍의 예방 : 예방접종력과 상처의 오염 정도에 따라 결정합니다.
    1. 파상풍 예방접종을 3회 이상 시행한 경우
      • 깨끗하고 작은 상처 : 마지막 접종 후 10년이 지난 경우에만 Td 1회접종
      • 오염되었거나 깊은 상처(토양, 분변, 타액, 오물 등으로 오염된 상처, 천자, 화상, 동상, 총상 등에 의한 상처) : 5년 이내에 접종력이 없으면 Td 1회접종
    2. 예방접종력을 모르거나 3회 미만인 경우

      다친 후 즉시 Td를 1회 추가 접종하고 상처에 따라 파상풍 인간면역글로불린 투여 여부를 결정

      • 깨끗하고 작은 상처 : 파상풍 인간면역글로불린 투여 필요 없음
      • 오염되었거나 깊은 상처 : 파상풍 인간면역글로불린 근육주사
예방접종

면역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10년마다 예방 접종이 필요합니다. 또한 파상풍은 감염 후 자연면역이 획득되지 않기 때문에 회복기에 파상풍 백신을 접종해야 합니다.

  1. 접종 백신 및 시기
    • DTaP 기초접종 3회 : 생후 2, 4, 6개월
    • DTaP 추가접종 2회 : 생후 15~18개월과 만 4~6세때 각각 시행
    • 만 11~12세 때 Tdap 또는 Td 백신으로 1회 접종
    • 이후 10년마다 Td 백신으로 추가접종 시행하며, 11세 이후 접종 중 한번은 Tdap으로 접종해야 함
FAQ

Q. 어렸을 때 DTaP(또는 Td)를 접종한 적이 없는 성인은 어떻게 파상풍 예방접종을 해야 하나요?

A. Td를 4~8주 간격으로 2회 접종하고 2차 접종 후 6~12개월 이후에 3차 접종을 실시합니다. 단, 이 중에서 한번은 Tdap 으로 접종해야 합니다. 가능한 첫 회 때 Tdap으로 접종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Q. DTaP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에는 무엇이 있나요?

A. DTaP 예방접종 후에 생길 수 있는 이상반응은 실제로 드뭅니다. 가장 흔한 이상반응은 접종 부위가 빨갛게 변하고 붓고, 통증, 어지러움, 식욕부진, 구토, 미열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고열, 경기, 아나필락시스 반응, 경련 등의 심각한 부작용이 드물게 발생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