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방접종정보
홍역
개요
홍역은 전세계적으로 유행하는 급성 발진성 바이러스 질환으로서 특징적으로 전염성이 매우 높아서 항체가 없는 사람이 노출되는 경우 90% 이상이 감염됩니다. 온대 지방에서는 늦은 겨울부터 봄에 가장 많이 발생합니다.
원인균
홍역 바이러스(Measles Virus)
전파경로
- 감염경로 : 환자와의 직접 접촉, 호흡기 분비물 등의 비말(droplet), 오염된 물건 등을 통하여 호흡기로 감염
- 전염기간 : 환자에서 피부발진이 발생하기 4일전부터 발생 4일 후까지 홍역 바이러스 전파 가능
- 잠복기 :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증상이 나타나기까지의 기간은 10~12일입니다.
증상
- 잠복기 : 10-12일
- 전염기간 : 발진 발생 4일 전부터 발진 발생 4일 후까지 바이러스 전파가 가능하며, 전구기 발생 시점부터 발진 발생 후 4일까지 가장 전염력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음
- 증상 : 고열과 함께 기침, 콧물, 결막염 발생하며 얼굴에서 몸통으로 퍼지는 피부발진을 특징으로 함
- 합병증 : 설사, 중이염, 기관지염, 모세기관지염, 크룹, 기관지 폐렴 등
진단
- 특징적인 증상만으로도 임상적인 진단 가능
- 확진 및 전염관리를 위해 혈액검사(특이 항체검사) 및 바이러스 검사가 필요할 수 있음
치료
보존적 치료(안정, 충분한 수분 공급 등) 및 대증치료(해열제 등)
예방접종
- 접종 백신 : MMR (홍역-볼거리-풍진) 백신으로 세가지 질환 모두 예방 가능
- 접종 대상 : 모든 영유아
- 접종 시기 : 생후 12~15개월과 만 4~6세에 각각 1회 접종(총 2회)
- 성인에서 MMR 접종을 시작하는 경우 : 최소 4주 간격으로 2주 접종
- * 1967년 이전 출생한 성인의 경우 홍역에 대한 자연면역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접종 불필요
FAQ
Q. 홍역을 앓은 경우에도 MMR 예방접종을 해야 하나요?
A. 홍역은 한번 걸린 후 회복되면 평생 면역을 얻게 되어 다시 걸리지 않습니다. 그러나 홍역을 앓았다고 하더라도 풍진과 유행성이하선염을 예방하기 위해서 MMR 백신을 2회 접종해야 합니다.
Q. MMR 예방접종 후 얼마 동안 임신을 하지 말아야 하나요?
A. 생백신은 태아에게 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가임기 여성이 MMR 접종을 받았다면 4주간 임신을 피하도록 합니다.
Q. MMR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에는 무엇이 있나요?
A. MMR 예방접종 후에 생길 수 있는 이상반응은 실제로 드뭅니다. 접종 후 통증, 두통, 발열, 발진,관절통, 일시적인 혈소판감소증 등 이상반응과 뇌염, 뇌신경마비 등의 신경학적 이상반응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재접종 후에 오는 이상반응은 초회 접종 시와 비슷하나, 재접종 시에는 대부분 면역상태에 있기 때문에 이상반응의 발생 빈도는 낮습니다.